본문 바로가기
생활 꿀팁

멍 빨리 빼는 법 이렇게해봐요!

by 알면좋다 2021. 8. 23.
728x90
반응형

 

어딘가에 부딪히거나 순간적으로 강한 충격이 몸에 가해지면 피부 안쪽의 실핏줄이 터지면서 멍이 들게 됩니다. 주로 나이가 어린 아이들이 장난을 치거나 놀이를 하다가 멍이드는 경우가 많고, 성인의 경우에는 성형수술 후에 수술 부위 주변으로 멍이 생기기도 하는데요. 또 살성이 약한 여성이 남성보다 멍이 잘든다고 합니다. 멍이 엄청난 고통이라던지 위험한 것은 아니지만 미관상 보기 좋지 않아 최대한 빨리 나을 수 있다면 좋을텐데요.

그래서 오늘은 멍에 대한 다음과 같은 항목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멍이란?
  • 멍 빨리 빼는 법
  • 멍이 잘드는 사람 유형

 

 

멍이란?

멍의 사전적 정의에 따르면 심하게 맞거나 부딪히면서 살갗 속에 퍼렇게 맺힌 피라고 나와 있습니다. 대부분 퍼런 형태를 띄기는 하지만 아주 심한경우에는 검은색을 띄는 멍을 관찰할 수 도 있는데요. 단순 살색의 변화 말고도 상처부위가 약가 부어오르는 증상이 나타기도 합니다.

 

 

멍 빨리 빼는 법

1. 냉찜질 후 온찜질

멍이든 부위는 타박상에 의한 피부 안쪽의 출혈이 발생한 부위이기 때문에 자극을 최소화 해주어야 합니다. 따라서 멍이 든 직후에는 되도록 건드리지 않아야 하고 하루정도가 지나 통증이 조금 나아진 상태에서 냉찔질을 통해 붓기를 가라앉힘과 동시에 통증을 잡아줄 수 있습니다. 하루에 5회 정도 15분 이내로 진행해 주시면 됩니다. 

상처가 회복되고 재생을 빠르게 하기위해서는 혈액순환의 역할이 크기 때문에 2일 정도가 지난 후부터는 상처부위에 따뜻한 온찜질을 진행해 주시는 것이 좋고 너무 뜨겁지 않은 온도로 마찬가지로 15분 정도 진행해 주시면 됩니다.

 

2. 감자나 치자가루 팩

감자를 간것이나 치자가루를 밀가루와 섞어서 반죽을 만든 뒤 냉장보관을 통해 차갑게 만들어 이를 상처부위에 올려주면 피멍을 빼주는데 효과가 있다고 합니다. 팩을 만들때에는 물과 적절한 비율로 섞어 너무 묽지 않게 만들어야 하며 15분 정도 팩을 진해한 뒤 흐르는물에 깨끗히 닦아내면 됩니다. 추가로 햇빛을 쬐어 주는 것도 조금의 도움이 된다고 하네요.

 

 

 

3. 상처 부위를 심장보다 높은 위치로

사람들이 주로 멍이드는 부위는 팔과 다리입니다. 하지만 팔과 다리는 아래를 향하고 있기도 하고 심장보다 아래에 위치한 신체기관이기 때문에 멍이 더욱 심하게 들 수 있는데요. 팔과 다리에 타박상이 생겼을 때에는 팔을 들거나 누워서 다리를 들어주어 심장보다 높은 위치에서 압박감이 줄어들게 해주면 통증완화에 도움이 될 수 있다고 합니다.

 

4. 시간이 지난 후 가벼운 마사지, 운동

멍은 어쨋거나 신체 내부에서 출혈이 일어난 것이 육안으로 관찰되는 것이며, 발생한 출혈이 모두 흡수되어야 멍자국이 없어지게 됩니다. 흡수를 위해서는 혈액순환이 무엇보다도 중요한데 통증이 사라질때 쯤 부터는 가벼운 마사지를 통해 해당 부위에 혈액순환을 돕고, 운동도 같은 원리로 멍을 빼는데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

 

 

멍이 잘드는 사람

1. 노화와 여성

40이 넘어가고 나이가 점점 듦에따라 피부의 탄력이 급감하면서 외부의 작은 충격과 압박에도 멍이 쉽게 들 수 있습니다. 비슷한 원리로 여성은 남성보다 근육량이 현저하게 낮기때문에 멍에 더 잘들게 됩니다.

 

2.당뇨환자

당뇨병이 있는 사람들도 멍이 잘 든다고 하는데요. 단순히 멍이 잘 드는 것 뿐만아니라 한번 생긴 멍자국이 쉽게 사라지지 않는다는 특징도 보인다고 합니다.

 

 

3. 혈관질환 환자

다양한 원인에 의한 출혈 장애 및 혈관염, 빈혈, 백혈병 환자들의 경우 일상에서도 정말 쉽게 멍이들기도 하는데 이는 성인남성이 조금 쎄게 잡는 압력에도 멍일 들 수 있는 정도인 경우도 있다고 합니다. 또, 멍이 쉽게 퍼져 범위가 일반적인 경우보다 넓게 나타난다고 합니다.

 

4. 간기능 환자

간경화, 만성 간염, 간질 등 간과 관련된 질환을 가진 환자들은 혈액의 응고 능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작은 충격에도 멍에들기 쉽고 낫는데 오래걸린다고 합니다. 

 

 

5. 약물의 사용

우리가 흔하게 접할 수 있는 아스피린, 피임약부터 스테로이드제, 혈액응고제 등의 약물들을 장기간 복용하게 되는 경우에는 약물의 영향으로 피가 일반적인 경우보다 묽게되어 그렇지 않은 사람들보다 멍이 쉽게 들 수 있다고 합니다.

 

6. 하지정맥류

별다른 충격이 없는데도 다리에서 멍이 계속해서 발견된다면 이는 하지정맥류의 전조증상으로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정맥혈관이 늘어진 경우 혈액이 지나가지 못하다가 주변 모세혈관으로 들어가게 되는데, 과다한 혈액이 몰릴 경우 혈관이 감당하지 못하고 터지면서 육안으로 멍의 형태로 나타나게 됩니다.

 

2022년 대통령선거일 알고가세요!

 

2022년 대통령선거일 알고가세요!

2020년과 2021년 상반기가 코로나바이러스와 그리고 올림픽으로 정말 순식간에 지나간 것 같은데요. 현재 대통령직을 맡고 있는 문재인 대통령의 임기가 2022년 5월 9일 끝나면서 새로운 대통령을

sangjin622.tistory.com

반응형

'생활 꿀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통기한 지난 약 영양제 처리는?  (0) 2022.06.13
관장약 넣는법 이렇게해요  (0) 2021.08.25
해파리 쏘였을 때 어떻게?  (0) 2021.08.06
asdf service application 삭제해도 될까?  (0) 2021.08.06
깍다 깎다  (0) 2021.07.30

댓글